6.1 메뉴(Menu)
메뉴는 윈도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가진 기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매개 역할을 한다.
메뉴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애플리케이션 상단에 여러 개의 카테고리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카테고리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테고리 아래로 메뉴가 뚝 떨어지면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메뉴 항목이 나타난다.
2) 캐스케이딩 메뉴(Cascading Menu)
풀다운 메뉴에서 변형된 메뉴 형태로, 메뉴 항목의 오른쪽에 또 하나의 서브 메뉴가 나타나는 메뉴이다.
3) 팝업 메뉴(Pop-up Menu) 또는 문맥 메뉴(Context Menu)
애플리케이션 영역의 중간에서 자유롭게 튀어나오는 메뉴이다. 커서나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된 객체 혹은 작업 영역에 따라 다른 팝업 메뉴를 띄울 수 있다.
6.2 툴바(Toolbar)
툴바는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명령 버튼을 포함하는 윈도우이다. 툴바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메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특정한 작업을 툴바 버튼을 통해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시각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6.3 상태 표시줄(Status Bar)
상태 표시줄은 메인 프레임 하단 부에 위치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의 도움말이 출력되는 형태의 윈도우를 말한다. 상태 표시줄은 팬이라고 불리는 표시 영역들로 나뉜다. 이들은 고정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태 표시줄을 만들기 위해서는 3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 CStatusBar의 객체를 만든다.
- CStatusBar::Create() 함수를 사용하여 상태 표시줄 윈도우를 만든다.
- 팬을 만들고 그 크기를 지정한다.
실습
6.4 도킹 팬(Docking Pane) 윈도우
도킹 팬(Docking Pane) 윈도우는 Visual Studio 2008 SP1 Feature Pack부터 적용된 인터페이스 기술로써, MFC 내부에 CDockablePane 클래스로 구현되어 있다. 도킹 팬 윈도우의 일반적인 특징은 툴바(Toolbar) 또는 다이얼로그 바(DialogBar)와 같이 프레임 윈도우의 어떤 부분이라도 자유롭게 도킹(Docking)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바(Bar) 윈도우와 비교하여 가장 큰 파이점은 탭(Tab) 윈도우를 이용한 중첩이 가능하다는 점과 분할 윈도우를 이용한 영역배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습
'New > MFC 윈도우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그래픽 객체의 사용 (0) | 2025.03.05 |
---|---|
5. 도큐먼트 파일 입출력 및 템플릿 (2) (0) | 2024.12.29 |
5. 도큐먼트 파일 입출력 및 템플릿 (1) (0) | 2024.12.19 |
4. 대화상자 (2) (1) | 2024.12.15 |
4. 대화상자 (1) (0) | 2024.12.15 |